존 듀이의 경험중심 교육에 대하여 포스팅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블로거 럭키의 아름다운 여정입니다. 경험중심 교육에 대하여 적겠습니다.
1. 서론
학생중심, 경험중심의 교육관점의 대표적인 학자인 듀이(Dewey)는 전통적인 교육과정은 문서로나 계획에 의한 것이고 진보적인 관점은 교사가 학생이 경험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학생의 경험에 특징이 있다고 하였다. 교육과정을 바라보는 보수적, 진보적, 급진적 교육과정에서 진보적 관점의 학생경험중심 교육과정은 몇 년전 유행했던 우리나라 열린교육의 방법이 진보적 교육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2. 듀이의 경험중심 교육
듀이의 철학은 아동의 경험을 1차적으로 존중하였으며 아동의 교육활동은 교사의 지도가 필수적임을 지적했다. 아동과 교과를 분리하는 전통적인 교과 중심 교육과정을 비판하면서 「아동의 교육과정」 에서 그는 교육의 과정을 성숙한 성인의 경험과 미성숙한 아동이 상호작용을 통하여 연속성이 이루어 진다고 강조하였다.
1) 듀이의 경험과 교육
듀이의 경험교육이론의 핵심개념은 교육적 경험과 맹목적인 경험이 있다. 교육적 경험이란 어린아이가 해보는 경험과 당하는 경험의 관계를 연결하여 이해하게 된다면 또 다시 같은 행동을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경험 속에서 지력이 작동한 경험을 통해 학습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맹목적 경험은 교육적 경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의 경험을 말한다.
듀이의 경험의 특징은 첫째 상호작용은 유기체와 환경이 같이 있다고 경험 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둘째로 경험은 앞의 경험이 시작점이 되어 발전하고 종결되어 또 다른 하나의 경험이 되고 이것이 연속되어 다음에 또 다른 새로운 경험이 더해져 성장해 간다고 하였다. 그리고 듀이는 교사가 아동에게 도덕적 행동을 보여야 하지만 아동이 당면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아동이 스스로 도덕적으로 판단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경험해야 한다고 하였다.

2) 경험의 성장을 위한 교과 발달의 세 단계
듀이는 아동을 존중하는 교육을 하려면 아동의 발달에 따라 단계별 교육을 제시하였다. 첫째로 책이 아닌 놀이나 일을 신체활동을 통해 그 일을 하는 동안 사물에 익숙해지고 무엇인가 할 줄 아는 단계가 있고 둘째로 의사소통의 언어 활동을 통하여 현재와 과거, 여기에서 저기(now & here)로 삶의 경험 폭을 넓혀가며 지리나 역사를 배우는 단계로 발전하며 셋째로 합리적인 사고활동으로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전문가의 지식을 습득하는 단계를 제시하였다.

3) 교육자의 교과와 학습자의 교과
보수적인 교육자는 교육자의 교과가 학습자의 교과와 다른 점을 올바르게 파악하지 못하고 그 장점을 알지 못했기 때문에 왜 학생들이 재미없어 하는지를 몰라 실패할 수 밖에 없었다. 그 특징을 살펴보면 교육자의 교과는 첫째, 추상적이고 이론적인 형식으로 되어 교사는 이해하기 쉬운데 학생들이 공부를 다 하고 난후 사고의 결과로 학습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둘째, 교과내용이 논리적으로 조직되어 결과를 설명하는데 유용하다. 반면에 학습자의 교과는 첫째, 학생들의 경험 안에서 아동의 사고가 작동하는 교과내용이 심리적으로 조직되어 결론에 도달하는데 유용하다. 둘째, 사고의 과정으로 탐험가의 탐험 과정을 기록한 일지에 비유된다.
참고사이트(출처)
김경아(2004). 학교 교육과 정론. 교육과학사
김수천(1999). 교육과정과 교과. 교학사
김재춘, 박순경, 이동주(2010). 교육과정 및 평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권두성 외(2011). 성인학습 및 상담. 교육과학사
박도순 외(2002).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문음사 도서출판
이성진 외(2010). 교육심리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오성삼 외(1999). 교육과정 및 평가의 이해. 양서원
조화태 외(2010). 교육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황정규(2002). 학교 학습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럭키의 교육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학대의 개념과 발생원인 그리고 예방대책 (1) | 2022.10.28 |
---|---|
지역발전의 개념과 교육을 통한 지역발전 (0) | 2022.10.27 |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론과 나선형 교육과정 (0) | 2022.10.25 |
고전적 조건형성 정의와 원리 (0) | 2022.09.25 |
우리가 사는 사회 명목론, 실재론, 상호작용론 (0) | 2022.09.22 |
댓글